이낙연 새미래 상임고문은 15일 방송된 법률방송 유튜브 채널 ‘홍승기가 묻고 그가 답하다’에 출연해 현 정치권의 양극화, 민주당 리더십 문제, 과거사 해결에 대한 입장 등을 밝혔다. 그는 “윤석열·이재명식 정치를 끝내야 대한민국이 살아난다”며 양 진영 모두에 날 선 비판을 가했다.
이낙연 "외롭지만 말할 수 있는 자유를 얻었다" (법률방송 갈무리)
이 고문은 “지금은 민주주의도, 법치주의도 위기”라며 “두 인물 중 한 사람이라도 살아남는다면 한국 정치는 돌이킬 수 없는 길로 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나는 진영의 굴레에서 벗어난 만큼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게 됐다. 한덕수 총리는 조속히 업무에 복귀해야 한다는 말도, 윤석열·이재명 동반 청산도 이제는 거리낌 없이 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광주지역의 정치적 경직성에 대한 질문에는 “광주가 갈라파고스라면 대구도 갈라파고스다”라며, 지역 원로들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광주일고 동문으로서 “동문 사회가 충분한 역할을 했느냐에 대한 반성은 필요하다”고 자성했다.
과거 위안부 여성기금 수용 여부 논란에 대해서는 “정대협의 입장은 존중하지만, 민간 차원의 사과와 보상 노력을 수용하는 것이 한일관계 연착륙의 방법이었을 수도 있다”며 자신이 썼던 기사와 입장을 재확인했다. “당시에도 비판을 많이 받았지만, 원칙은 지키되 유연한 해법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민주당 내부 상황에 대해서는 “이재명 대표가 충성파 중심으로 당을 장악하며 리더십이 전체주의화됐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이 본래의 전통과 품격을 잃었고, 사법 리스크 방어를 위해 정당과 국회를 방탄의 도구로 삼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자신이 당대표 시절 재보선 후보 공천 문제를 두고 결단을 내리지 못한 점에 대해선 “두고두고 부끄럽다”며 책임을 인정했다.
비명계 주요 인사들의 이재명 대표 지지에 대해서는 “세 사람 모두 좋은 자산이지만, 결과적으로 왜곡된 체제를 용인하는 셈이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대안을 낸다면 도울 용의가 있다”며 향후 정치적 연대 가능성도 시사했다.
방송 말미, 이 고문은 “외롭지만 영광스러운 고립이라 생각한다”며 “정치가 제대로 돌아가 내가 필요 없는 사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에 2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탈민주당 이후 나 역시 저런 마음. 외롭기도 하고 가끔은 내가 틀렸나 고민도 했지만, 무엇보다 떳떳하고 당당하다. 틀린 걸 틀렸다 말할 수 있는 자유. 상대진영의 옳은 말에 박수칠 수 있는 상식. 무엇보다 NY와 뜻이 같다는 진짜 동지라는 자부심. 거지같우 현실에 빡지만 그만큼 편안하다.
“외롭지만 영광스러운 고립이라 생각한다, 말할 수 있는 자유 얻었다”
당신이 가시는 길, 영광과 명예 있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