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딱 두 번, 민주당 대선 경선 TV 토론 대폭 축소
  • 김남훈 기자
  • 등록 2025-04-16 16:26:44
기사수정
  • 2017년엔 11번에 비해 대폭 축소
  • 비명계의 이재명 추격 완전 차단당해
  • 2017년 '이낙연 트라우마'때문?

민주당, 대선 경선 TV토론 단 2회로 축소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경선 과정에서 TV토론을 두 차례만 열기로 결정했다. 4월 18일(지상파)과 25일(종편) 두 번뿐이다. 겉으로는 “짧은 일정과 후보별 스케줄 조율 문제”라는 게 명분이지만, 실제론 1강 체제를 유지하려는 이재명계의 전략적 판단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다른 주자들의 반격 기회는 사실상 봉쇄됐다. 당내 비이재명계는 “민주적 토론조차 거부하는 폐쇄적 경선”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2021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당시 TV 토론 (사진=연합뉴스)

당 선관위 관계자는 “이번 경선은 등록 마감 후 12일 안에 후보를 결정해야 해 시간이 촉박하다”며 “이견은 거의 없었다”고 설명했지만, 이는 과거 사례와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적은 횟수다. 박근혜 탄핵으로 조기대선이 치러졌던 2017년 당시 민주당은 11번의 TV토론을 진행한 바 있다. 지역 순회 일정에 맞춰 권역별 토론도 실시했고, 후보 등록 전 예비토론도 두 번이나 열었다.


당시 이재명 후보는 ‘토론이 유일한 기회’라며 축소를 반대했고, 캠프 차원에서도 “충분한 검증을 위해 다수의 토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었다. 그러나 이번엔 정반대다. 결국, 이 전 대표가 과거 자신이 처했던 ‘불리한 조건’을 그대로 반복하지 않기 위해 조기 차단에 나선 셈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표가 2017년 경선 당시 대기실에서의 부적절한 행동, 토론 도중의 경박한 발언 등으로 지지율이 급락했던 ‘악몽’을 기억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특히 대장동 의혹이 한창 불거진 2021년 경선 당시, 3차 수퍼위크에서 이낙연 후보에게 더블스코어 차로 대패한 경험은 현재까지도 뼈아픈 트라우마로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당시처럼 여러 차례 토론이 반복될 경우 리스크가 증폭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차단 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4
아페리레
웰컴퓨터
최신뉴스
아페리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