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尹대통령 조속한 직무집행 정지 필요"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6일 오후 서울 용산 한남동 관저에서 면담했다. 이 자리에는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도 배석했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긴급 당 최고위원 회의에서 주요 정치인들 체포 지시를 이유로 윤 대통령의 직무 집행 정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었다. 지난 5일 탄핵안 부결을 당론으로 제시했으나 하루만에 업무정지 입장을 낸 것이다.
한 대표는 당론은 못 바꾸지만 개인 의견을 전제로 대통령 직무 집행 정지를 말한 것은 '탄핵'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사실상 탄핵 의견을 낸 것으로 해석된다.
그 직후 이뤄진 면담은 윤 대통령이 한 대표에게 요청해 이뤄졌다.
두 사람은 이미 지난 4일 저녁 용산 대통령실에서 만나 계엄 선포·해제 사태와 관련한 수습책을 논의했으나 당시 윤 대통령은 “민주당이 남발하는 탄핵 폭거를 막기 위해 계엄을 선포한 것” “나는 잘못한 게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한다.
그러나 한 대표는 면담 후 “방금 대통령과 만났지만 현재로선 특별한 조치는 안 할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으로부터 (직무정지)판단을 뒤집을만한 말은 듣지 못했다”며 “대통령에게 ‘3일 비상계엄 이후 오랜시간이 지났는데 (국민들에게)입장을 직접 설명해야 한다’고 요청드렸지만 ‘아직 때가 아니다’라는 답을 들었다” 듣는 등 사실상 소득 없는 면담이 된 것이다.
한 대표는 “우리가 이제는 책임있는 결정을 해야 한다”며 “국민들은 또 이런 일이 생길 것이라는 불안이 있고 이를 반드시 해소해야 한다”고 했으며 대통령실은 금일 대국민담화는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당장 7일로 예상되는 탄핵안 표결까지 24시간도 남지 않은 셈이다.
한편, 군 검찰은 계엄 연루 군인 10명 출국금지를 법무부에 신청하고 국방부는 계엄군 지휘관 3인(수방사령관, 특전사령관, 방첩사령관)에 대한 직무정지를 내리는 등 대통령실의 지휘체계는 완전히 무너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민연금 손대려는 정권, 그래놓고 청년더러 "속았다" 하는가
모터사이클 라이더들의 2주간 1인 시위 종료 '숨 고르기'… '협회 창설'로 조직화 나선다
썩어가는 것과 익어가는 것의 차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