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20일 발표한 당헌·당규 개정안 전 당원 투표 결과는 이재명 대통령이 해외 순방으로 자리를 비운 사이, 정청래 당대표가 당내 헤게모니를 완벽하게 장악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찬성률 86.81%라는 수치는 표면적으로 압도적인 지지처럼 보이지만, 16.81%라는 저조한 투표율은 조직화된 강성 당원, 이른바 '개딸'들에 의해 당의 의사결정이 좌우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정 대표는 이를 근거로 대의원제를 사실상 무력화하고 권리당원의 표 가치를 대의원과 1대1로 맞추는 작업을 강행하고 있다.
대화를 나누고 있는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국회의원과 원외 위원장들의 입김이 작용하던 대의원 시스템의 폐기다. 기존 시스템에서 대의원 1표가 권리당원 17.5표의 가치를 가졌던 것을 감안하면, 이는 의원 중심의 당내 견제 세력을 거세하고 정 대표의 핵심 기반인 강성 권리당원에게 전권을 이양하는 조치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 비례대표 선출 방식을 권리당원 100% 투표로 변경한 것은 공천권을 사실상 정 대표와 강성 지지층이 독점하겠다는 선전포고나 다름없다. 호남 등 특정 지역의 과대 대표 우려와 강경파에 의한 여론 왜곡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밀어붙이는 것은 내년 선거 공천을 '친정 체제' 구축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의도다.
정치권에서는 정 대표의 이 같은 행보가 내년 8월 전당대회를 겨냥한 사전 정지 작업이라고 분석한다. 지난 당대표 선거에서 대의원 투표에서는 밀렸으나 권리당원 투표로 당선된 정 대표 입장에서 대의원 권한 축소는 재연임을 위한 필수 과제이기 때문이다. 예비경선에서 권리당원 투표 비율을 35%로 늘리고 중앙위원 비중을 낮추는 것 또한 같은 맥락이다. 이 대통령이 국정에 집중하며 당무와 거리를 두는 시점을 노려, 정 대표가 시스템 자체를 자신에게 유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변질시키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다가올 중앙위 의결 과정에서 기득권을 잃게 될 의원들의 반발이 예상되나, 정 대표는 '당원 명령'이라는 명분과 김어준 같은 스피커를 앞세워 이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김남훈 기자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에 7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팝콘 사러 갈 시간인가요..
저 시궁창에서 나온 저를 칭찬합니다.
개딸들은 이제 이재명 관심 없나?
저렇게 중요한 의사결정을 16%투표율의 결과로 한다는 것이 민주적이지는 않아보입니다
본격전 인가요?
이재명이 말한 세가지 구경거리 중 싸움 구경
즐거운 관전으로 보답하겠습니다
민주당의 분란에 아무 일도 안 하는 국힘이 어부지리라니
참 한심한 작태들입니다
민생은 아예 염두에도 없는 듯
전 이미 이재명이 대의원 권당 1:1 한 줄 알았어요 남의당이라 너무 관심이 없었나
어떻든 이재명 지지율이 너무 이해가 안 되더니 결국엔 어준이 지지율이었군요
정청래도 그 덕에 꿈을 가지고
더더더 싸워라 명청
청래 이겨라
이재명 보내고
충정로 대통령 아작날 때까지
가 보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