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감액 예산안 : 민생도 국정과제도 날린 예산 쿠데타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한 1차 감액 예산안을 살펴보면 육아휴직 지원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예산 1,900억 원 삭감, 소상공인 고금리 이자 지원 예산 3,000억 원 증액 무산, 그리고 전국 경로당 냉·난방비 지원 예산 69억 원 삭감 등 국민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민생 예산이 대거 포함됐다.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대왕고래 프로젝트)와 체코 원전 수출 등 현 정부의 산업 분야 핵심 국정 과제를 흔들어버려 국정 동력과 대외신인도에 치명상을 입게 된다.
시추공 하나 뚫는 데에 1000억 원의 비용이 드는데, 절반인 약 500억 원은 정부의 예산, 절반은 석유공사의 자체 재원으로 조달하게 할 계획이었다. 이제는 석유공사가 회사채 발행 등을 통해 전액 비용을 자체 부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이 내년도 예산안에서 약 4조 원을 삭감한 데 이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압박을 명분으로 추가 감액까지 예고하면서 정치적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민주당은 헌정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탄핵압박이라는 명분을 내세우겠지만, 삭감된 예산의 상당수가 민생과 직결된 항목이다. 헌정질서나 헌법을 구실로 수단 방법 안 가리고 국민을 볼모로 삼는 것은 윤 대통령이나 민주당이나 매한가지다.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는 이재명 대표 (서울=연합뉴스)
계엄 유발에서 탄핵 압박까지: 계속되는 정치적 도박
민주당은 감액 예산안을 통해 계엄의 빌미를 제공했고, 이제는 탄핵을 빌미로 추가 감액을 예고하고 있다. 이는 헌정질서를 바로잡겠다며 오히려 국가 운영의 안정성과 신뢰를 훼손하는 행위로 비칠 수 있다.
헌정질서를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민생을 협박 수단으로 삼는 행태는 국민들에게 깊은 피로감을 안기고 있다. 과연 국민이 이러한 정당의 통치 정당성을 납득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헌정질서란 국민의 권리와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존재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이유로 민생 예산을 협상 도구로 삼는 것은 헌정질서의 본질을 왜곡하는 행위다.
국민연금 손대려는 정권, 그래놓고 청년더러 "속았다" 하는가
모터사이클 라이더들의 2주간 1인 시위 종료 '숨 고르기'… '협회 창설'로 조직화 나선다
썩어가는 것과 익어가는 것의 차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