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중앙일보 사설이 인상적이다. 시사인에서 극우인증 기준표를 만들었고 조국이 이 기준표로 딱지붙이기를 했나보다. 중앙일보 사설은 의미있는 비판을 하고 있다.
"조 전 의원이 인용한 기사는 ‘시사인’에 실린 김창환 미국 캔자스대 교수의 연구 결과다. 김 교수는 극우를 정의하는 기준으로
①목적을 이루기 위해 폭력 사용, 규칙 위반을 할 수 있다
②정부보다 개인이 자신의 생계(복지)에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
③이민자 유입이나 난민 수용 확대 중 하나라도 반대
④대북 제재를 중심으로 압박 정책을 우선시
⑤중국으로부터 경제적 타격을 받더라도 한·미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
는 등의 5가지를 제시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5가지 모두 찬성하면 강성 극우고 ①만 빼고 ②~④에 동의하면 연성 극우란다. (중앙일보 김정하 논설위원)
MBTI분석하듯 5개 문항으로 극우몰이를 하는 기준이다. 항목을 살펴보면 헛웃음이 나온다.
극우 라벨링 놀이에 흠뻑 빠진 민주진보진영 아재들 (AI이미지 생성=가피우스)
①목적을 위해 수단 방법 안 가리는 게 이재명식 방법 아닌가. 절차 따져가며 진행하는 걸 '엄중'하다고 조롱하는 게 이재명 지지자들의 사고방식 아닌가? 이재명이 목적을 위해 수단 방법 안 가리니까 지지하는 것 아닌가?
②정부보다 개인이 자신의 생계에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믿는 것은 보편적인 가치관 아닌가.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까지 가지 않아도 99%는 그렇게 생각하며 하루하루 열심히 살지 않나?
③이민자 유입, 난민 수용 확대. 가장 많이 반대하는 게 누군가? 이재명 지지 비율이 큰 20대 여성층이다. 다른 연령, 다른 성별보다 극단적으로 높은 비율이다.
("20대 78% 여성 68% … 예멘 난민 수용 반대" 중앙일보 2018.8.6)
④대북 제재는 한국정부의 일관된 기조였다. 노무현 정부도 예외가 아니다. 남북화해의 역사를 모르는 것일까? 북한의 태도와 국제 정세에 따라 남북화해에 대한 여론은 요동친다. 김대중 정부 당시 김정일의 서울 방문을 묻는 여론조사에서 80%가 찬성했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 성과를 묻는 여론조사에서 94%가 성과가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2024년 국민의 64%는 제재를 유지·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중앙일보 여론조사 2024.1.4)
⑤중국의 경제보복이 있어도 한미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고 믿는 것이 극우의 기준이 될 수 있나. 이번 한미회담후 중국의 반응은 어떤가?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란 '안미경중' 노선이 이젠 어렵다는 이재명 대통령 발언에, 중국 정부는 한중 관계가 제3자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KBS 2025.8.27)
1,2,3,4,5 그대로 따르고 있는 게 이재명이 아닌가. 나는 이재명을 파시스트라고 보며 비판해왔다. 그러나 극우라는 딱지를 붙여 비판하지는 않았다. 극우의 기준이 모호하여 폭력적으로 남발되는 딱지붙이기이기 때문이다.
시사인의 기사 “서울 거주 경제적 상층일수록 극우 청년일 확률 높다”는 김창환 교수의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이준석, 김문수 지지자를 극우로 몰고 있다. 이재명 지지층에 해당하는 항목을 설정해놓고 이걸 휘어, 이재명을 비판하면 극우라고 믿게 만든다. 오만하고 위험한 정치적 선동이다.

- 관련기사
-